오수처리시설 개요
홍앤강 Environment의 강 작성
[오수처리설비 개요]
1. 고정담체 및 유동담체 생물막공법 처리시설
- 송풍기를 이용한 공기공급
- 고정담체 접촉재(폴리염화비닐린펜) : 부착 미생물량 多 유도
- 유동담체 적촉재 산호가루로서, 무기물이 다량함유됨

2. 침전분리 접촉산화법 및 혐기 호기 순환생물학법
- 오수와 분뇨 합병 Target
- 호기 생물학법은 포기장치가 필요하여 높은 전려이 필요하지만, 처리효율이 좋음
- 혐기 생물학법은 슬러지양(40%)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토지 개질을 위한 비료화도 가능함 (적은 처리비용)

3. 연속회분식 활성오니 처리공정도
- 성수기, 비수기 주야간 유량변동 큰 오수처리 Target
- 회분식 활성오니조 2개로 교차운전
- SBR 특성상 용존산소가 불균등하게 존재하여 오염물질 농도와 용존산소의 관계가 비선형이기 때문에 모델링이 어렵고. - 현재 모델링은 대부분 경험에 근거해서 진행됨


[참고문헌]
1) 오수처리시설의 기술개발 동향, 국립환경연구원, 1993
2) Sewage treatment system for improving energy efficiency based on particle swarm optimization algorithm, Bingqin Su 외 5명, 2022
3) Onsite Sewage Treatment and Disposal Systems: An Overview1, Gurpal S. Toor 외 2명
4) SUSTAINABLE SEWAGE TREATMENT AND RE-USE IN DEVELOPING COUNTRIES, Walid Abdel-Halim,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