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멤브레인(Membrane) 개요 (RO/UF/NF/MF)환경기초지식(Env' theory)/수질(Water pollution) 2021. 9. 19. 11:52반응형
안녕하세요 H&K Environment의 K입니다.
많이들 알고 계시는 수처리 공정 중 멤브레인에 대해서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멤브레인이란 선택적으로 용질을 분리하는 막으로써 체거름 및 확산작용에 의해 유체 안의 특정 물질들을 분리합니다.
- 합성재질의 반투과 물질
- 어떤 성분에 대해서는 높은 투과성을 가지고, 다른 어떤 성분은 낮은 투과성을 가짐
- 유체 안에 물질을 분리하기 위해, 막 표면에 유체를 가압해야 함
1. 분류기준
- 멤브레인 공극 사이즈
- Molecular Weight Cut Off (90%의 용질을 걸러주는 고분자물질의 분자량)
- 멤브레인 재질 및 구조
- 목표 분리물질
- 처리수 수질
2. 멤브레인 종류
- RO&NF: 연수화 담수화에 사용 (수중 이온 제거)
- RO(Reverse Osmosis): 대게 담수화 적용
- NF(Nano Filtration): 경도, 살균부산물 제거
- MF(Micro Filtration)&UF(Ultra Filtration): 부유물질 분리 (콜로이드, 바이러스, 미세유기물), 전통적인 수처리, RO/NF의 전처리용, 철/망간 제거 (산화 후)
멤브레인 종류, 공극크기 및 제거물질(오른쪽) 3. 멤브레인 재질
<요구사항>
- 높은 표면공극
- 넓은 표면기공 다면적
- 높은 통수성, 선택성
- 기계적 강도
- 열, 화학적 내성
<주재질>
- 고분자/세라믹
4. 멤브레인 설치 시 고려사항
- 멤브레인 용적률 (부피 대 면적비) → (Packing Density, 충진밀도)
- 유입수의 물질전달 향상을 위한 강한 난류
- 낮은 에너지 소모
- 막 세척이 용이한 설계
- 모듈러 설계(Modular Design): 각 단계별로 세분화해 독립적으로 설계하는 방식
5. 운전방법
가. Dead-end
- 공급수 전량 여과 (높은 유량)
- 저항은 케이크 두께, 여과된 부피에 비례함
- 급격한 투수성 감소
- 주기적인 세척이 요구됨
나. Cross-flow
- 공급수가 막면을 따라서 여과
- 높은 액체 제거율
- 유입수는 유동성 있는 슬러리 형태로 보존됨 (상대적으로 막의 공극이 덜 막힘)
- 다른 사이즈의 입자들을 분별하는 것이 가능함
Short Review on Predicting Fouling in RO Desalination, Alejandro Ruiz-Garcia, 2017 6. 회수율
- 막 공급수량에 대한 막 여과수량의 비. 처리효율을 나타내는 지표
- R = 100% (Qp / (Qp + Qc))
- Qp: 여과수량
- Qc: 농축수량
- R: 회수율 %
PURETEC Industrial Water (puretecwater.com) 7. 저지율
- 특정 용질이 막에 의해 투과가 저지되는 비율. 실질적인 제거율
- R = (Cfeed – Cpermeate) / Cfeed × 100%
- Cfeed: 유입수의 용질농도
- Cpermeate: 유출(여과)수의 용질농도
8. 세척
가. 물리적 세척
- 역세척
- 일시적으로 막이 막혔을 때 사용 (Reversible)
나. 화학적 세척
- 영구적으로 막이 막혔을 때 사용
- 산, 가성소다, 하이포아염소산나트륨
감사합니다.
반응형'환경기초지식(Env' theory) > 수질(Water pollu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퍼센트 농도(%) 계산 (0) 2022.01.01 DO/BOD/COD 정의 (0) 2021.11.12 Membrane Definition (RO/UF/NF/MF) (0) 2021.09.19 Ion Exchange Resin Definition(Feat. Samyang) (0) 2021.08.29 이온교환수지 원리(feat. 삼양사) (0) 2021.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