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기초지식(Env' theory)
-
오수처리시설 개요환경기초지식(Env' theory)/수질(Water pollution) 2025. 1. 11. 21:49
홍앤강 Environment의 강 작성 [오수처리설비 개요] 1. 고정담체 및 유동담체 생물막공법 처리시설- 송풍기를 이용한 공기공급- 고정담체 접촉재(폴리염화비닐린펜) : 부착 미생물량 多 유도- 유동담체 적촉재 산호가루로서, 무기물이 다량함유됨 2. 침전분리 접촉산화법 및 혐기 호기 순환생물학법- 오수와 분뇨 합병 Target- 호기 생물학법은 포기장치가 필요하여 높은 전려이 필요하지만, 처리효율이 좋음- 혐기 생물학법은 슬러지양(40%)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토지 개질을 위한 비료화도 가능함 (적은 처리비용) 3. 연속회분식 활성오니 처리공정도- 성수기, 비수기 주야간 유량변동 큰 오수처리 Target- 회분식 활성오니조 2개로 교차운전- SBR 특성상 용존산소가 불균등하게 존재하여 ..
-
활성슬러지공법 개요 (호기성, 생물학적처리)환경기초지식(Env' theory)/수질(Water pollution) 2024. 11. 8. 16:09
안녕하세요 홍앤강 Environment의 강입니다.고농도 폐수처리에 사용되는 전통적인 활성슬러지공법에 대해서 개요를 정리하고자 합니다.생물학적 처리공법의 기본이고 그 내용이 응용공법과 미생물까지 방대하여 입문인 개요와 국내 논문에 수록된 일부 내용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1. 호기적 처리조건① 산소 : 폐수 중에 유기물이 많으면 산소 요구량이 많아지게 된다. 따라서, 유기물질을 호기적으로 분해하려면 대량의 공기가 공급되어야 한다. ② 온도 : 일반적으로 세균은 0~75℃ 범위에서 증식하게 되는데 최적온도는 세균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온도가 10℃가 상승하면 생물학적 작용은 2배가 되지만, 40℃ 이상이 되면 열에 의한 단백질의 불활성화를 일으킨다.③ pH : 폐수의 pH는 생물증식을 좌우한다...
-
수처리 UV Sterilizer 개요환경기초지식(Env' theory)/수질(Water pollution) 2024. 10. 19. 16:54
▶ 홍앤강 Environment, 강 작성 폐배터리 금속자원 친환경적으로 추출하는 미생물 3종 발견. 리튬이온배터리 양(+)극의 재료로 사용되는 양극활물질*을 미생물이 활성화된 용액에서 24시간 동안 침출한 결과, 핵심광물인 리튬, 니켈, 망간 및 코발트가 95% 이상 분리되는 것을 확인했다. * 리튬이온배터리의 성능을 결정짓는 물질로 재활용이 최근 늘고 있음 - 국립생물자원관, 폐광산에서 발견한 미생물 3종에서 리튬, 니켈 등 폐배터리 핵심광물 추출 및 분리 가능성 확인 [자외선 유수 살균기]화학약품이나 가열시키지 않고 자외선 램프를 사용하여 관로에 설치, 박테리아, 바이러스, 곰팡이, 사상균, 대장균등을 사멸시킵니다. 물속에 잔류물이나 부산물을 남기지 않는 안전살균입니다. 정수처리공정 최 후단에서 ..
-
흡착탑(AC Tower) 개요환경기초지식(Env' theory)/대기(Air pollution) 2024. 8. 4. 00:35
H&K Environment, K 작성 안녕하세요 H&K의 K입니다.대기방지시설로 많이 설치되는 흡착탑에 대해서 조사해 보았습니다. 흡착법 개요1) 흡착법은 기체의 분자 및 원자가 고체 표면에 달라붙는 성질을 이용하여 오염된 기체를 제거하는 방법2) 유해가스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및 악취처리 시 사용됨3) 오염물질이 비연소성이거나 연소시키기 어려운 경우, 오염물질을 회수할 가치가 충분히 있는 경우, 배출가스 내 오염물질 농도가 매우 낮은 경우 효과적으로 적용 가능함 흡착 단계1) 1단계 : 기체가 흡착제에 접촉하면서 선택적으로 흡착제에 흡착 - 물리적 흡착 : 반데르발스 인력에 기인, 가역흡착 (공극 표면흡착) - 화학적 흡착 : 공유결합, 수소결합에 의해 일어남 - 정전기적 흡착 : 정전기적 상호작용..
-
순수/초순수 개요환경기초지식(Env' theory)/수질(Water pollution) 2024. 7. 23. 00:19
H&K Environment, K 작성 안녕하세요 K입니다. 반도체 공정을 가동하기 위해 필수적인 초순수 공정!요즘 트렌드를 보면 기존 사용 중이던 일제 제품을 국산화하기 위해 기업들이 정부 출처 전문 관할기관과 다양한 업무협약식을 맺고 기술개발 및 현장 적용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국내 굴지의 반도체 대기업 뉴스룸에 들어가기만 해도 관련 내용을 쉽게 접할 수 있는데요.주요 내용만 발췌하였습니다. LG이노텍 뉴스룸 반도체의 정밀도를 높이는 생명수, 초순수를 아시나요? - 2023.04.28순수(Pure Water)의 사전적인 의미는 불순물을 포함하지 않는, H2O로만 구성되어 있는 물이지만, 이론적으로 완전한 순수의 생산은 어렵기 때문에 불순물이 극히 적은 물이라는 의미에 더욱 가깝죠. 초순수는 ..
-
대기의 운동특성(바람의 요인, 종류)환경기초지식(Env' theory)/대기(Air pollution) 2024. 5. 31. 00:39
홍앤강 ENVIRONMENT 강 작성 [대서양과 태평양이 섞이지 않는 이유]https://www.youtube.com/shorts/I5-IuG1aZAw1. 밀도의 차이가 하강 상승할 정도로 크지는 않고 섞이지 않을 정도로는 크다.대서양/태평양의 물의 화학적 구성이 다르다. 생물학적 특성이 다른 물 사이의 경계를 약층이라 하는데 염분약층은 염분이 서로 다른 약층이라 한다. 각 층은 고유의 동식물을 가지고 있음. 보통 염분이 5배 이상 차이날 때 나타나는 현상임. 바다의 염분약층은 수직으로 구성됨밀도가 높은 것은 하강 낮은 것은 상승할 것이나 밀도의 차이가 하강/상승할 정도로 크지는 않고 섞이지 않을 정도로는 크기 때문임2. 관성(코리올리의) 힘 : 축을따라 움질일 때 생기는 힘. 지구는 움직이고 있고 움..
-
[‘24.02.06개정] 화학물질 관리법 개정(물질분류, 검사규정, 영업신고, 수입/취급제한, '25.08.07시행)환경기초지식(Env' theory)/화학물질관리(Chemicals) 2024. 4. 10. 23:30
H&K Environment의 K 작성 [제개정 내용] 종전 유독물질의 범주를 인체급성유해성물질, 인체만성유해성물질, 생태유해성물질로 차등화하고, 유해화학물질을 인체급성유해성물질, 인체만성유해성물질, 생태유해성물질 및 사고대비물질로 정비하며, 이 법의 적용범위에서 「폐기물관리법」에 따른 지정 폐기물을 제외하고, 소비자가 유해화학물질을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유해화학물질의 일반적인 취급ㆍ관리 의무에서 제외할 수 있도록 특례를 신설하며, 금지ㆍ제한ㆍ허가물질을 국내에 유통하지 아니하고 국외로 전량 수출하기 위하여 제조ㆍ수입하거나 시험용ㆍ연구용ㆍ검사용 시약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취급하는 경우 등 예외적인 사유에 대한 허가ㆍ신고 규정을 정비하는 한편,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과 관련한 검사 결과의 보고 ..
-
폐플라스틱 재활용 공법 – 비연소 저온 분해기술환경기초지식(Env' theory)/폐기물(Waste) 2024. 3. 25. 11:22
* 홍앤강 Environment의 강 작성 도시유전, 폐플라스틱 안태우고 석유뽑는다 (2024.03.14. - 전자신문) 도시유전이 세계 최초로 플라스틱 폐기물을 태우지 않고 재활용하는 공정을 상용화한다. 도시유전은 오는 8월 말부터 전라북도 정읍에서 비연소 저온 분해 기술과 공정을 통해 재생원료·연료를 생산하는 직영공장을 가동한다고 14일 밝혔다. 공장은 대지 3000평, 연면적 1100평으로 처리 능력은 하루 최대 24톤, 연간 7000톤 규모다. 도시유전이 이번에 도입하는 기술은 세라믹, 파동에너지를 통해 폐플라스틱을 300℃ 아래에서 저온분해해 재생 원료·연료유인 나프타, 경질유를 얻는 것으로 첫 상용화 사례다. 기존 기술은 석유 기반 플라스틱, 비닐을 500℃이하 고온에서 열분해한다. 기술은 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