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기초지식(Env' theory)/대기(Air pollution)
-
흡착탑(AC Tower) 개요환경기초지식(Env' theory)/대기(Air pollution) 2024. 8. 4. 00:35
H&K Environment, K 작성 안녕하세요 H&K의 K입니다.대기방지시설로 많이 설치되는 흡착탑에 대해서 조사해 보았습니다. 흡착법 개요1) 흡착법은 기체의 분자 및 원자가 고체 표면에 달라붙는 성질을 이용하여 오염된 기체를 제거하는 방법2) 유해가스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및 악취처리 시 사용됨3) 오염물질이 비연소성이거나 연소시키기 어려운 경우, 오염물질을 회수할 가치가 충분히 있는 경우, 배출가스 내 오염물질 농도가 매우 낮은 경우 효과적으로 적용 가능함 흡착 단계1) 1단계 : 기체가 흡착제에 접촉하면서 선택적으로 흡착제에 흡착 - 물리적 흡착 : 반데르발스 인력에 기인, 가역흡착 (공극 표면흡착) - 화학적 흡착 : 공유결합, 수소결합에 의해 일어남 - 정전기적 흡착 : 정전기적 상호작용..
-
대기의 운동특성(바람의 요인, 종류)환경기초지식(Env' theory)/대기(Air pollution) 2024. 5. 31. 00:39
홍앤강 ENVIRONMENT 강 작성 [대서양과 태평양이 섞이지 않는 이유]https://www.youtube.com/shorts/I5-IuG1aZAw1. 밀도의 차이가 하강 상승할 정도로 크지는 않고 섞이지 않을 정도로는 크다.대서양/태평양의 물의 화학적 구성이 다르다. 생물학적 특성이 다른 물 사이의 경계를 약층이라 하는데 염분약층은 염분이 서로 다른 약층이라 한다. 각 층은 고유의 동식물을 가지고 있음. 보통 염분이 5배 이상 차이날 때 나타나는 현상임. 바다의 염분약층은 수직으로 구성됨밀도가 높은 것은 하강 낮은 것은 상승할 것이나 밀도의 차이가 하강/상승할 정도로 크지는 않고 섞이지 않을 정도로는 크기 때문임2. 관성(코리올리의) 힘 : 축을따라 움질일 때 생기는 힘. 지구는 움직이고 있고 움..
-
대기오염 배출원 종류환경기초지식(Env' theory)/대기(Air pollution) 2024. 2. 3. 11:34
홍앤강 ENVIRONMENT 강 작성 이동배출원 고정배출원 선오염원(Line Source) 점오염원(Point Source) 면오염원(Area Source) 1) 오염원이 고정되어 있지 않은 이동배출원 2) 대기확산이 활발하지 않아 지표면에 강한 영향을 미침 3) 도로변 주변에 대기오염문제를 야기시킴 4) 예 : 자동차, 선박, 기차, 비행기[선 형태로 이동하면서 연속적으로 배출하는 것] 1) 하나의 시설이 대량의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오염원 2) 영향범위가 넓게 나타남 3) 예 : 소각로 화력발전소, 대규모 공장 및 산업시설 등 1) 소규모 점오염원이 다수 존재하여 오염물질을 발생시킴으로써 해당지역에 커다란 점오염원 형태를 나타냄 2) 대기확산이 활발하지 않아 지표면에 강한 영향을 미침 3) 예 : 연료..
-
[환경부] 대기환경관리 계획 (제3차 2023~2032년)환경기초지식(Env' theory)/대기(Air pollution) 2023. 11. 12. 21:37
홍앤강 ENVIRONMENT 강 작성 안녕하세요 K입니다. 미국 남자 배우인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가 평소에 개인적으로 환경 문제에 관심이 많아서 본인의 수상 소감에도 종종 얘기를 했던 것이 기억에 남아서, 추가로 UN 연설에서 발표한 기후변화 관련 내용을 찾아보고 공유해봅니다. 출처 : Youtube(데이텐 - DAYTEN,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UN연설 기후변화문제) 이번에는 국가(환경부 주관)에서 10년 단위로 수립하고 있는 대기환경개선 종합계획(3차, 2023~2032년)에 대해서 조사해보았고, 지난 2차 계획의 실적과 시사점이 반영이 되어있는지 투자계획은 어떻게 되는지 관심 있는 사람들이 쉽게 알아보도록 확인을 해봤습니다. 개요 1) 환경부장관은 대기오염물질과 온실가스를 줄여 대기환경을 개선하기 ..
-
산성비의 정의, 원인 및 영향환경기초지식(Env' theory)/대기(Air pollution) 2023. 10. 28. 20:38
홍앤강 ENVIRONMENT K 작성 안녕하세요 K입니다. 산성비는 저희 나라보다는 호수와 석회/목재 재질의 건축물을 보유한 유럽에서 공론화 되고 있지만, 국내에서도 대기관리권역법 개정(적용범위의 확대)이라던지 대기오염물질의 배출허용기준 강화를 통해서 관리를 강화하고 있는 만큼 알아두어야 할 사항인 것 같습니다. 미국 동부지역과 스칸디나비아 지역에서는 1950년 중반부터 1970년대 중반가지 빗물의 pH가 뚜렷하게 감소되었고, pH는 2 미만에서 5.5의 범위로 측정되었습니다. 자연적 *완충능력(Buffering Capacity)이 부족한 대부분의 호수에서는 호수물의 pH가 급속히 떨어졌습니다. 대략 pH4.5 이하에서는 물고기가 죽는데, 이는 산성도 그 자체에 대한 영향과 토양 중 독성 금속이 용출되기..
-
대기오염이 환경과 인간에 미치는 영향환경기초지식(Env' theory)/대기(Air pollution) 2023. 10. 7. 20:39
홍앤강 ENVIRONMENT 강 작성 안녕하세요 K입니다. 종종 대기오염물질에 노출되면 건강상 장해가 발생한다는 기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www.fnnews.com/news/202309280815129784 대기오염에 5일만 노출돼도 뇌졸중 사망위험 급증 [파이낸셜뉴스] 대기오염에 단 5일만 노출돼도 뇌졸중 위험이 최대 60%까지 증가할 수 있다는 해외 연구진의 분석 결과가 나왔다. 이는 국민건강을 위해 국가 차원의 대기오염 감소정책이 필요 www.fnnews.com 대기오염물질은 총 64종이 있고 환경부에서 배출량 지표로 공개하는 주요 대기오염물질은 총 9종이 있습니다. 이에 대해서 환경, 인체, 식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사를 해보았습니다. 또한, 굴뚝자동측정기기라 하여 실시간으..
-
압력 단위환산환경기초지식(Env' theory)/대기(Air pollution) 2023. 9. 30. 00:35
홍앤강 ENVIRONMENT 강 작성 안녕하세요 K입니다. 오늘은 압력 단위환산에 대해서 작성해보고자 합니다. 고등학교 때까지만 해도 mmHg, atm 정도만 사용했던 것 같은데요 대학교 가면 전공서적에 따라서 PSi를 쓰는 책도 있고 현업에 나가면 atm이 너무 큰 단위라서 작은 압력을 지시하는 mmH2O, 게이지 압력을 지시하기 위해서 kgf/cm2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지금 와서 생각해보면 여러 단위를 아는 것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압력 : 일정한 면적에 작용하는 힘, 한면에 대한 유체의 압력은 그면의 단위 넓이에 유체에 의하여 작용하는 힘이다. 중력의 영향하에 있는 유체의 기둥의 높이로도 측정된다. 1atm = 760mmHg = 760Torr = 14.696lbf/in2 = 2116.6..
-
대기의 구성(조성) 및 특성환경기초지식(Env' theory)/대기(Air pollution) 2023. 9. 21. 15:16
홍앤강 ENVIRONMENT 강 작성 1. 개요 1) 대기의 수직온도 분포에 따라 대류권/성층권/중간권/열권으로 구분 2) 대기의 온도는 고도가 높을수록 대류권에서는 하강, 성층권에서는 상승, 중간권에서는 하강, 열권에서는 다시 상승 3) 대기의 밀도는 기온이 낮을수록 높아지므로 고도에 다른 기온 분포로부터 밀도분포가 결정됨 4) 기상요소의 수평분포는 위도, 해륙분포 등에 의하여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지만 연직방향에 따른 변화가 더욱 큼 → 대기권에서 기본개념은 Geopotential Altitude와 Geometric Altitude(Z)가 있으며, Geopotential Altitude는 고도에 따른 중력의 변화로 값이 변화한다. 2. 대류권(Troposphere) 1) 대류권은 지표에서부터 평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