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독서후기] 평등을 넘어 공정으로홍&강 Talk(H&K Talk)/독서후기 2024. 8. 31. 01:58반응형
안녕하세요 H&K ENVIRONMENT의 K입니다.
오늘도 추천서적 '평등을 넘어 공정으로'에 대해서 짧은 후기를 공유합니다.
평등을 넘어 공정으로라는 책 타이틀만 읽었을 때 공정이라는 것이 법률에 대해서만 이해를 하고있어 공정으로라는 문구가 어떤것을 의미하는지 명확히 이해 할 수 없었습니다.
이 책을 통해 공정의 관점에서 나라가 나아갈 수 있겠다라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책의 도입부인 1장은 정말 독해가 쉽게 기재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장을 거듭할수록 읽기 어려우니 긴장하시고 독서 하셔야겠습니다. (박지향, 2021년, 김영사, 11,500원)
* 저자 : 박지향,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 명예교수,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뉴욕주립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뉴욕 프랫대학교, 인하대학교, 서울대학교 교수를 지냈고, 도쿄대학교, 케임브리지대학교 객원교수를 거쳤다.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장, 영국사학회 회장, 국사 편찬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 <제국의 품격> <근대로의 길> <정당의 생명력 : 영국 보수당> <클래식 영국사> <대처 스타일> <슬픈 아일랜드> <영국적인, 너무나 영국적인> 등이 있다. 이 책은 유럽이 어떻게 지난 500년간 세계를 제패할 수 있었는지에 문제의식을 가지고, 성공한 국가의 조건과 더 나은 미래의 길을 탐색한다. 특히 서양사 가운데서도 근대화의 표상이었던 영국사를 중심으로 의회민주주의, 자유주의, 자본주의, 사회주의, 복지국가 등을 조망한다. 오늘날 우리 세대에게 역사의 교훈과 통찰을 전하는 책이다.
1장 자유롭고 공정한 나라
자유란 무엇이며 자유로 인해서 파생되는 소수 개인의 성공이 나라 전체의 부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언급을 하고있고, 평등과 공정을 비교하면서 공정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익숙한 단어인 평등을 비관적으로 바라보는 시각과, 국가 개인의 성공을 야기하는 공정에 대해서 얘기합니다. 규칙을 준수하며 많은 노력으로 많은 성취를 한다는 약속을 의미하는 공정의 개념을 국가는 유지하기 위해서 어떤 노력을 하고있고 이 노력의 정도가 국가 순위를 정하는 기반이 되지 않나 생각해 볼 수 있었습니다.
2장 성공한 나라의 정치
자유의 땅은 어디로 알고있으신지 모르겠습니다. 저는 기존까지 미국인줄 알았는데, 이번 장을 통해서 그것의 기원은 영국이며 해당 국가의 사례를 통해 국가가 자유주의에서 민주주의로 변화되는 과정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또한 이를 통해 자유주의외 민주주의의 차이에 대해서 쉽게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3장 자유가 일으킨 번영
상업에 폐쇄적이었던 영국이 애덤스미스라는 인물 한명으로 인해서 자본주의에 눈을 뜨게되는 과정과 자본주의의 명암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애덤스미스에 따르면 자본주의도 이익을 추구함에 있어서 국가단위에서 지켜야 할 규칙이 있으며, 도리어 이것이 자본주의의 약점이 되는데 왜 그런지 쉽게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4장 집단주의의 도전
과거 사회주의가 어떠한 사유로 멸망했으며 현대에서 행해지는 사회주의는 어떤 형태인지 알아볼 수 있습니다. 이 장을 읽으면서 단일민족으로 구성된 대한민국이라는 나라가 국가적 위기를 강력한 국가권력으로 통제함으로써 극복하는 사례를 보면, 우리 나라는 민주주의를 기반으로한 사회주의 국가에 가깝지 않나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이는 헌법 제1조 대한민국은 민주 ’공화국‘이다. 라는 조항을 통해 보다 확신을 가질 수 있었습니다.
5장 복지국가의 명암
역시 영국을 사례로 세계대전 이후 복지국가가 탄생하게된 배경과 왜 해당 이념을 오래 유지하지 못했는지 알 수 있습니다. 현재 각 국가에서 도입하고자 하는 복지국가 시스템이 이미 영국에서는 1945년부터 시행되었다는 것을 통해 해당 국가의 우수성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6장 더 나은 미래를 위하여
1~5장 내용을 총망라 하여 자유와 공정에 기초한 나라를 만들기 위한 국가 구성원의 성숙한 자세와 공통의 가치를 강조하는 저자의 독려로 마무리 합니다. 성공한 국가가와 강한 국가의 비중에 대해서 국민과 지도층의 논의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좋아요와 댓글, 구독 부탁드립니다. ^^
반응형'홍&강 Talk(H&K Talk) > 독서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서후기] 한국사는 없다. [유성운] (0) 2025.01.11 [독서후기] ESG 투자의 정석 (14) 2024.10.27 [독서후기] 100대 기업 ESG 담당자가 가장 자주하는 질문 (0) 2024.08.10 [독서후기] 생태적 전환, 슬기로운 지구 생활을 위하여 (2) 2024.06.16 [독서후기] 너와 나의 경제학 (2) 2024.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