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공사비 절감방안
    홍&강 Talk(H&K Talk)/일반 엔지니어링, Safety 2025. 2. 16. 22:12
    반응형

    Environment 작성

     

     

    안녕하세요 홍앤강 Environment의 강입니다.

    10대 대기업 마저도 비상경영체제를 선포하며 국내 직장인들이 비상경영시대를 맞이하여 드러나지 않는 어려움을 마주하고 있습니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10347341

     

    [고승연의 경영 오지랖] '비상 경영의 시대'를 맞이하며

    [고승연의 경영 오지랖] '비상 경영의 시대'를 맞이하며, 오피니언

    www.hankyung.com

     

     

    이와 관련 안전환경 엔지니어가 포괄적으로 비용절감을 검토할 수 있는 공사비 절감사례에 대해서 조사해보았습니다.

    VE 사례는 제외하고, 조금 더 거시적인 관점에서 생각해봤습니다.

    AI가 단번에 답을 알려주었지만, 역시 표준화되고 통계적인 방법을 제시해주네요.

    그래도 책으로 지식을 쌓던 시대에 비해서는 좋아진 것이 사실입니다.

     

    1. 계약금액의 조정(정확한 공사비 산정)

    - 물가변동에 의한 재료비, 노무비 등 공사계약 이후 발생가능한 위험요인을 고려함

    - 기존에는 생산자물가지수 활용으로 공사 물가변동 실태를 왜곡시킬 가능성이 있었음

    (국내 시장에서 유통되는 상품과 서비스 중 거래비중이 높은 품목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가중치를 결졍해 지수가 편제됨 > 건설산업과는 괴리가 있음)

    - 최근에는(2004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공사비 지수로 개선방안을 도출함

    1) 실질적 물가변동 반영, 투입자원의 비목군 분류 작업에 소요되는 노력과 분쟁을 줄일 수 있음

     

     

    2) 외국 계약금액 조정방법 비교표(해당 공사기간, 요율)

     

    2. 적절한 입찰방식의 선정

    저는 계약담당은 아니라서 몰랐는데 금액에 따라서 입찰방식이 지정되어 있기도 하고, 기술공모라던지 설계공모 방식도 있었네요. (국가계약법 – 약칭,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국내 건축 및 토목 전문가 265인 설문조사 결과는 설계공모 기술제안 입찰 혹은 설계시공 일괄입찰이 가장 ‘효용성’이 높다는 결론이 도출되었습니다.

     

    3. 표준단가와 실적단가를 기반으로한 입찰가 분석

    1) 기존 표준단가 및 다양한 시공환경, 공법, 기술수준 등에 따른 공사비 변동을 현실적으로 반영한 실적단가를 기반으로 한 입찰가 분석

    2) 표준단가반영 시 부실시공이나 과다비용 산정 문제점을 실적단가 활용으로 미연에 방지함

     

    4. 적절한 예산산정 방법 선택

    1) 기존 공사 연도별 단가, 평단가, km별 단가 > 정확한 공사기간 산정에 따른 공정률에 근거한 단가, 공종 별 단가로 구체화 및 상세화

     

    5. 공사비 지급방식 방법 선택 (Construction Management 고용 Case)

    1) 공사비 비율에 의한 방식

    공사비에 일정비율을 곱하여 산출하는 공사비 비율에 의한 사례별 금액

    2) 실비정액가산방식 : 실제 투입되는 비용과 무형의 용역비의 합으로 산정하는 것

    3) 계약금액 : 실제로 계약한 금액

    * 하기 그림자료는 문화예술회관 건설 Case 입니다.

     

    [참고문헌]

    - 건설공사비 지수를 활용한 물가변동에 의한 계약금액 조정방안 개선, 조훈희 외 1명, 2005

    - 공공건설공사의 최적 입찰방식 선정모델, 유일한 외 1명,

    - 시설공사 입찰단가를 활용한 실적단가의 산정 방안에 관한 연구, 강상혁 외 3명, 2006

    - 장기계속계약제도 하에서 고속도로공사 최적공사비 산출방안 정립에 관한 연구, 구본상 외 2명, 2015

    - CM 대가 산정방식의 문제점 분석에 대한 연구, 유병기 외 2명, 2006

     

     

    구독과 좋아요 그리고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됩니다. ^^
    반응형

    댓글

H&K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