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대기오염물질의 정의환경법규(Env' law in KOREA)/대기환경(Air pollution) 2023. 9. 6. 21:38
홍앤강 ENVIRONMENT 강 작성 1. 대기오염물질 : 대기 중에 존재하는 물질 중 대기 중에 존재하는 물질의 위해성을 심사ㆍ평가하여(독성/생태계에 미치는 영향/배출량/오염도) 그 결과 대기오염의 원인으로 인정된 가스ㆍ입자상물질로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2. 유해성대기감시물질 : 대기오염물질 중 대기 중에 존재하는 물질의 위해성을 심사ㆍ평가하여(독성/생태계에 미치는 영향/배출량/오염도) 그 결과 사람의 건강이나 동식물의 생육에 위해를 끼칠 수 있어 지속적인 측정이나 감시ㆍ관찰 등이 필요하다고 인정된 물질로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3. 기후ㆍ생태계 변화유발물질 : 지구 온난화 등으로 생태계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기체상물질로서 온실가스와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환..
-
H사 폐수 불법배출 혐의…서산지역 ‘충격’홍&강 Talk(H&K Talk)/환경뉴스 2023. 8. 31. 22:55
충남 서산시의회가 H사 대산 공장이 유해 물질인 페놀 200만t 이상을 대기 중으로 불법 배출한 혐의로 경영진들이 기소된 것과 관련해, 환경영향 조사와 시민 건강 역학 조사 등을 촉구했다. 서산시의회 환경오염대책 특별위원회는 22일 기자회견을 열고 “페놀은 관련법에 따라 독성 물질, 특별관리 물질, 유독물질로 물환경보전법에선 특정수질유해물질로 규정하고 있다”며 “H사는 18만 서산시민의 건강과 생명을 뒷전으로 유무형의 피해를 초래했다”고 주장했다. 이날 시의회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의정부지검 환경 범죄 합동 전문수사팀은 지난 11일 물환경보전법 위반 혐의로 H사 전 대표이사 A(64)씨 등 8명과 H사 법인을 기소했다. H사는 자사 대산공장에서 배출된 페놀 및 페놀류 포함 폐수를 계열사 공장으로 배출한..
-
환경전문공사업 개요환경법규(Env' law in KOREA)/통합환경(Integrated env' management) 2023. 8. 27. 20:48
* 홍앤강 ENVIRONMENT 강 작성 1. 환경전문공사란? 환경전문공사란 다음 시설을 설계ㆍ시공하는 공사를 말함 1) 「대기환경보전법」 제2조제12호에 따른 대기오염방지시설 2) 「소음ㆍ진동관리법」 제2조제4호에 따른 소음ㆍ진동방지시설 3) 「물환경보전법」 제2조제12호에 따른 수질오염방지시설 ‘설계’란 배출시설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의 농도 및 성상 등과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효과적으로 오염물질을 없애거나 줄일 수 있는 최적의 처리 방법과 용량을 선정한 후, 이와 관련한 장비, 기계, 부품 및 기구 등을 배치하거나 조합하는 방법 등을 정하는 일련의 과정을 뜻한다. ※ 대기오염방지시설의 설계를 예로 들면, 오염물질이 방지시설로 적정 유입하기 위한 후드의 형태, 포착속도, 배출량 및 ..
-
실내공기질 관리기준환경법규(Env' law in KOREA)/대기환경(Air pollution) 2023. 8. 19. 20:24
홍앤강 ENVIRONMENT 강 작성 안녕하세요? 홍앤강 ENVIRONMENT의 강입니다. 오늘은 실내공기질 관리기준에 대해서 찾아보았습니다. 실내공기질 관리법은, 1) 1996.12.30. 지하생활공간공기질관리법 제정 → 지하 생활공간에서의 공기오염이 환경문제로 대두되어 공기질을 관리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함 2) 2003.05.29.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 관리법으로 명칭변경 → 법의 적용대상 확대 : 실내공기질 관리교육 시행, 건축자재 제한, 실내공기질 측정의무화 3) 2015.12.22. 실내공기질 관리법으로 명칭변경 (간결화) → 공중위생관리법 상 공중이용시설 적용대상을 실내공기질 관리법 관리사항으로 일원화, 건축자재 사전관리 강화(시험분석), 라돈 관리계획 규정 위와 같이 변경되어왔..
-
홍수위험지도 (도시침수지도/하천범람지도)홍&강 Talk(H&K Talk)/환경뉴스 2023. 8. 13. 20:31
H&K ENVIRONMENT, K 작성 8/11 태풍 카눈 대비 환경부 보도자료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8월 11일 오전 9시 한강홍수통제소(서울 서초구 소재)에서 관계기관과 영상회의를 갖고 태풍 피해 상황 및 복구지원방안을 점검했다. 이날 회의에는 기상청, 유역(지방)환경청, 홍수통제소, 한국수자원공사, 국립공원공단, 한국환경공단, 한국수자원조사기술원이 참석했다. 한화진 장관은 우선 “하천 수위가 안정화될 때까지 빈틈없이 대응하라”고 강조했다. 이어 “태풍으로 피해를 입은 시설을 빠르게 복구해야 한다”라며, “단수 피해가 발생한 지역은 시설이 복구되기 전까지 병물을 공급하고 급수차를 통해 비상 급수를 시행하여 주민 불편을 최소화하라”고 강조했다. 또한, “침수 피해를 입은 하수도시설의 원활한 복구를 위해..
-
유독물질 지정고시 개정 (2023.11.02. 시행)환경법규(Env' law in KOREA)/화학물질(Chemicals) 2023. 8. 12. 23:18
H&K Environmet의 K 작성 2023.08.01 유독물질의 지정고시가 개정되었습니다 (2023.11.02. 시행) 많은 참조바랍니다.~ [시행 2023. 11. 2.] [국립환경과학원고시 제2023-41호, 2023. 8. 1., 일부개정.] 고유번호 화학물질의 명칭 97-1-24 디노셉[Dinoseb; 2-sec-Butyl-4,6-dinitrophenol; 88-85-7] 및 이를 0.3% 이상 함유한 혼합물 97-1-106 브로노폴[Bronopol; 2-Bromo-2-nitro-1,3-propanediol; 52-51-7] 및 이를 2.5% 이상 함유한 혼합물 97-1-205 염화 에틸[Ethyl chloride; 75-00-3] 및 이를 0.3% 이상 함유한 혼합물 2005-1-547 3,..
-
폐활성탄 처리방법환경법규(Env' law in KOREA)/폐기물(Waste) 2023. 7. 29. 23:13
H&K Environment, K 작성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관장 서민환)은 산양 등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물 19종의 성체줄기세포*를 안정적으로 동결 보존할 수 있는 기술을 최근 확립했다고 밝혔다. * 성체 조직을 구성하는 세포로 새로운 개체로 증식되는 능력이 있음 연구진은 이번 동결보존 기술 개발로 멸종위기 동물을 세포 상태로 10년 이상 장기 보존할 수 있게 되어 암컷과 수컷 개체를 관리해야 하는 기존의 인공증식 방식 대비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링크 폐활성탄 처리절차 * “사업장폐기물”이란 「대기환경보전법」, 「물환경보전법」 또는 「소음ㆍ진동관리법」에 따라 배출시설을 설치ㆍ운영하는 사업장이나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말한다. * “지정폐기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