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해화학물질 소량기준환경법규(Env' law in KOREA)/화학물질(Chemicals) 2021. 9. 30. 00:27반응형
안녕하세요. H&K ENVIRONMENT의 K입니다.
요즘 미국의 금리 인상 우려로 인해서 코스피 지수 역시 큰 영향을 받고 있는데요
(9월 29일 기준 1.2% 하락 마감, 지수: 3060.27)
심상치 않네요... 다들 성투하시길 바랍니다.
오늘은 유해화학물질 소량 취급시설 관련 수량산정에 관해서 포스팅하고자 합니다.
1. 소량 취급시설의 대상 판단 방법
유해화학물질 소량 취급시설에 관한 고시 별표 3 위를 보시면 결국 취급량이 소량이냐 아니냐로 나뉘잖아요.
따라서 소량기준에 대해서 아셔야 하는게 우선이고, 소량기준은 어떻게 산정하는지 파악해보았습니다.
2. 유해화학물질 소량기준
- 기본적으로 [유해화학물질 소량 취급시설에 관한 고시 별표1 - 유해화학물질별 소량기준]을 보시면 되구요
[별표 1] 유해화학물질별 소량기준(유해화학물질 소량 취급시설에 관한 고시).hwp0.11MB- 여기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유해화학물질은 [동일 고시 별표2 - 유해화학물질 소량 산정방법]을 참고하면 됩니다.
[별표 2] 유해화학물질 소량 산정방법(유해화학물질 소량 취급시설에 관한 고시).hwp0.06MB근데 이 별표2에서 소량기준을 확인하시는 방법은요
예시로 알려드리면
내가 취급하는 물질이 “시클로 니트”고 별표1에 표기되어 있지 않다?
그러면 [화학물질 화학물질의 분류 및 표시 등에 관한 규정 별표4 - 분류표시 목록]으로 갑니다.
(별표 4) 분류표시 목록 (21.09.13).hwp0.81MB거기서 아래 [유해성 분류]와 [구분]을 확인합니다.
고유번호 화학물질의 명칭 CAS 번호 유해성 분류(Code) 항목 구분 97-1-146 시클로니트 [Cyclonite] 121-82-4 폭발성 물질(2.1)
급성독성-경구(3.1)2
3그 다음에 [소량 취급시설에 관한 고시 별표2]로 오셔서 해당하는 가로/세로축에 해당하는 항목을 체크합니다.
취급 물질은 시클로 니트 – [폭발성 구분2], [급성 독성 구분3]이죠.
이 부분에 해당하는 가로/세로축이 만나는 지점이 소량기준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구분 급성 독성 (단위: kg) 기타 건강유해성 및 환경유해성 비고 구분1 구분2 구분3 구분4 폭발성물질 구분1∼구분2 200 200 200 200 200 구분3이상 400 400 400 400 400 인화성가스 구분1 5 50 100 200 200 구분2 50 100 200 400 400 한가지 유의하셔야 할 점!!
1. 위 소량기준은 순간최대체류기준이구요
* 순간최대체류량 : 유해화학물질 제조/사용시설 개별설비에서 최대로 체류할 수 있는양. 배관 내 체류량 제외
2. 보관/저장기준은 순간최대체류기준 × 15입니다.
3. 또한, 만약 2가지 이상의 분류기준.
위 경우로 따지면 폭발성물질이자 인화성가스라면 가로/세로축이 만나는 지점이 2개 나오겠죠?
그럼 2개 중에 가장 작은 수량을 적용하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ps. 추가로 소량취급시설 안내서를 첨부합니다.
반응형'환경법규(Env' law in KOREA) > 화학물질(Chemical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규화학물질 제조/수입 등록/신고(등록면제/신고면제) (3) 2022.09.04 화학물질 확인명세서 제출 (0) 2022.07.17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안전진단 개요 (0) 2021.10.26 유해화학물질 저장↔보관시설 차이 (2) 2021.10.04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 제도 요약 (2021.04.01 시행) (0) 2021.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