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법규(Env' law in KOREA)/대기환경(Air pollution)
-
수소불화탄소(HFCs) 관리제도 개선방안환경법규(Env' law in KOREA)/대기환경(Air pollution) 2024. 12. 29. 10:07
▶H&K Environment의 K 작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수소불화탄소(HFCs) 관리제도 개선방안’] 1. 목표 수소불화탄소로 인해 온실가스 배출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이 물질을 단계별로 전환하여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달성 (2035년 HFCs 배출량 약 20백만톤 감축)* 수소불화탄소는 수소(H), 불소(F), 탄소(C)로 구성된 물질의 총칭으로, 오존층 파괴물질(ODS : Ozone-Depleting Substances)인 염화불화탄소(CFCs), 수소염화불화탄소(HCFCs)의 대체물질로 개발된 합성물질 2. 개선사유 지구온난화지수*(GWP)가 매우 높고, 제품에 주입된 후 장기간 누출되는 특성상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대책이 필요한 상황* 지구온난화지수(Glo..
-
[환경부] 전국 지자체에 GHP 대기배출시설 신고 안내 시작환경법규(Env' law in KOREA)/대기환경(Air pollution) 2024. 11. 9. 14:11
홍앤강 Environment, 강 작성 안녕하세요, 홍앤강 Environment의 강입니다.무려 재작년에 포스팅했던 가스히트펌프(GHP) 대기배출허용기준 신설 관련https://hk-environment.tistory.com/68 [대기] 가스히트펌프 대기배출허용기준 신설 (‘22.07.01~)H&K Environment, K 작성 안녕하세요 H&K Environment의 K입니다. 새로운 삶을 준비하느라 포스팅을 자주하지 못했네요 더욱 분발하도록 하겠습니다. ^^ 설악산국립공원 흘림골 탐방로 7년만에 재개방 (사hk-environment.tistory.com 환경부(장관 김완섭)가 전국 지자체에 내년 1월 1일부터 대기오염물질배출시설로 적용되는 가스히트펌프(GHP) 허가(신고) 및 사후관리 절차 처리에..
-
[‘24.08.17] 대기관리권역법 개정시행환경법규(Env' law in KOREA)/대기환경(Air pollution) 2024. 8. 16. 00:03
* H&K Environment의 K 작성 사업장 대기총량제 유연하게 개선…연도별 배출허용총량에서 일부 당겨 사용가능이코노믹데일리 2024.08.13. 06:03 '대기관리권역법 시행령 일부개정안', 국무회의 의결로 8월 17일부터 시행배출허용총량 차입 및 외부감축활동 세부 기준, 절차 마련 ‘대기오염물질 배출오염총량 차입제도’와 ‘외부감축활동 인정제도’가 지난해 8월 17일 ‘대기관리권역법’ 개정(2023년 8월 17일 공포, 2024년 8월 17일 시행)으로 신설됨에 따라 하위법령에 위임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했다.... (상세내용 기사확인)https://m.news.nate.com/view/20240811n20567 첫째, 총량관리 사업자가 할당기간(5년) 중 다른 연도의 배출허용 총량의 일부를 ..
-
대기 배출허용기준환경법규(Env' law in KOREA)/대기환경(Air pollution) 2024. 5. 19. 08:51
[홍앤강 ENVIRONMENT 강 작성] 1. 대기오염물질 : 대기 중에 존재하는 물질 중 대기 중에 존재하는 물질의 위해성을 심사ㆍ평가하여(독성/생태계에 미치는 영향/배출량/오염도) 그 결과 대기오염의 원인으로 인정된 가스ㆍ입자상물질로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2. 가스 : 물질이 연소ㆍ합성ㆍ분해될 때에 발생하거나 물리적 성질로 인하여 발생하는 기체상물질을 말한다. 3. 입자상물질(粒子狀物質) : 물질이 파쇄ㆍ선별ㆍ퇴적ㆍ이적(移積)될 때, 그 밖에 기계적으로 처리되거나 연소ㆍ합성ㆍ분해될 때에 발생하는 고체상(固體狀) 또는 액체상(液體狀)의 미세한 물질을 말한다. 4. 먼지 : 대기 중에 떠다니거나 흩날려 내려오는 입자상물질을 말한다. 5. 매연 : 연소할 때에 생기는 유리(遊離) 탄소가 ..
-
[환경부] 대기오염 배출량 계산 (대기오염물질 배출계수)환경법규(Env' law in KOREA)/대기환경(Air pollution) 2024. 2. 24. 15:47
▶홍앤강 ENVIRONMENT 강 작성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에 대해서 Posting을 해보고자 합니다. 현업에서는 주로 환경책임보험 보험료 산정, 대기 인허가 시행(방지시설 설치 검토차 – 상세사항은 환경부 인허가 자료 검토바랍니다. ^^) 시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을 직접 하시거나 검토하고 계시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물론 측정자료가 있으면 좋겠지만 측정자료는 설비를 설치하고 나서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배출계수를 이용해서 할 수 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컨설팅 업체에서는 환경부에서 공지된 자료가 없으면 미국 EPA에서라도 가져와서 하시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각설하고 바로 본론을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대기오염물질 배출량(톤/년) → 법규상 대기오염물질 사업장 종(규모, 1~5종) 구분도 그렇..
-
대기오염물질의 정의환경법규(Env' law in KOREA)/대기환경(Air pollution) 2023. 9. 6. 21:38
홍앤강 ENVIRONMENT 강 작성 1. 대기오염물질 : 대기 중에 존재하는 물질 중 대기 중에 존재하는 물질의 위해성을 심사ㆍ평가하여(독성/생태계에 미치는 영향/배출량/오염도) 그 결과 대기오염의 원인으로 인정된 가스ㆍ입자상물질로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2. 유해성대기감시물질 : 대기오염물질 중 대기 중에 존재하는 물질의 위해성을 심사ㆍ평가하여(독성/생태계에 미치는 영향/배출량/오염도) 그 결과 사람의 건강이나 동식물의 생육에 위해를 끼칠 수 있어 지속적인 측정이나 감시ㆍ관찰 등이 필요하다고 인정된 물질로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3. 기후ㆍ생태계 변화유발물질 : 지구 온난화 등으로 생태계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기체상물질로서 온실가스와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환..
-
실내공기질 관리기준환경법규(Env' law in KOREA)/대기환경(Air pollution) 2023. 8. 19. 20:24
홍앤강 ENVIRONMENT 강 작성 안녕하세요? 홍앤강 ENVIRONMENT의 강입니다. 오늘은 실내공기질 관리기준에 대해서 찾아보았습니다. 실내공기질 관리법은, 1) 1996.12.30. 지하생활공간공기질관리법 제정 → 지하 생활공간에서의 공기오염이 환경문제로 대두되어 공기질을 관리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함 2) 2003.05.29.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 관리법으로 명칭변경 → 법의 적용대상 확대 : 실내공기질 관리교육 시행, 건축자재 제한, 실내공기질 측정의무화 3) 2015.12.22. 실내공기질 관리법으로 명칭변경 (간결화) → 공중위생관리법 상 공중이용시설 적용대상을 실내공기질 관리법 관리사항으로 일원화, 건축자재 사전관리 강화(시험분석), 라돈 관리계획 규정 위와 같이 변경되어왔..